728x90
SMALL
※소화 과정
•소화 : 음식물을 기계적(=저작, 씹는 행위), 화학적(=침)으로
분해한 후
영양분은 흡수하고,
불필요한 물질은 배출하는 과정
•소화관 : 구강→인두→식도→위→작은창자→큰창자→항문
입,위 장점막
(화학적 소화 ,기계적소화) 분비 흡수 배출
1.소화계통구조
①구강
•혀는 음식물을 침과 섞어주고

삼킬 때 음식물을 입안에서 인두로 보냄 미각·발성에 관여
유두 : 작은 돌기
① 실유두
② 버섯유두
③ 성곽유두 : 많은 수의 맛봉오리가 들어 있음
④ 잎새유두 : 사춘기 이후 퇴화되어 사라짐
•구강 : 저작(=씹는) 활동, 미각, 침샘을 가지고 있음
침샘의 종류는
① 귀밑샘(=이하선) : 침샘 중 가장 크기가 큼
② 턱밑샘(=악하선) : 장액>점액
③ 혀밑샘(=설하선) : 장액<점액
•인두 : 12cm 정도의 근육기관
① 코인두(=비인두) ② 입인두(=구인두) ③ 후두인두로 나뉨
= 공기의 통로역할 = 음식물을 삼킬 때 = 식도로 연결
목젖 : 코 차단
후두덮개 : 기도 차단
음식물 + 공기의 이동통로
•식도 : 후두인두에서 위 사이의 관
굵기가 일정치 않음(=3부분의 잘록부분이 있음)
음식물 역류 방지
암 발생률↑
•식도조임근
② UES : 호흡하는 동안 공기가 식도로 들어가는 것 방지
④ LES : 위의 음식물이 식도로 넘어오지 못하게 함
⑥ 식도열공
728x90
LIST
'해부생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화 작용 (0) | 2022.06.13 |
---|---|
소화계통구조(위,작은창자,큰창자,곧창자,항문) (0) | 2022.06.13 |
감염에 대한 인체의 방어작용<백혈구> (0) | 2022.06.13 |
림프계통과 면역 (0) | 2022.06.13 |
심장혈관계통(심장구조,협착증,주요혈관,심장벽) (0) | 2022.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