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부생리학

감염에 대한 인체의 방어작용<백혈구>

간호학과1학년 2022. 6. 13. 07:11
728x90
SMALL

1.면역의 종류

 

비특이적 면역 : 선천면역 피부,눈물과 점액, 염증반응 등

 

특이적면역 : 후천성면역 T 림프구(세포성면역)  ,B림프구(체액성면역)

구분 세포성면역 체액성면역
관련림프구 T림프구 B림프구
성숙 가슴샘 골수에서 성숙
반응 지연 즉각적
이식거부반응,암세포파괴,결핵 과민성쇼크,아토피성질환,수혈

※감염

염증(inflammation)은 미생물이나 외상으로 조직이 손상되었을 때 혈관을 가진 조직이면 어디에서나  발생한다. 염증은 감염물질의 인접조직으로의 확산을 막고 죽거나 손상된 세포를 제거하며 조직의  수복 단계를 거치면서 인체를 방어하는 과정이다.

손상된 세포에서 분비된 물질들이 혈액으로 유입되면 염증반응이 야기된다. 이런 분비물질들에는  히스타민과 세로토닌 등이 있으며 이들은 국소조직에서 중요한 두 가지 반응, 혈관의 확장  혈관투과성의 증가일으킨다. 이들 반응으로 인해 네 가지 증상, 발적, 부종, 발열 및 통증  일어난다.

국소혈관의 확장은 손상된 부위로 더 많은 혈액을 불러들인다. 혈액과 함께 들어온 백혈구는 침투한  미생물에 대항하기 위해 손상부위에 축적된다. 때로는 이러한 축적된 백혈구들이 고름이라고 부르는  끈적끈적한 체액을 만들어 내는데, 고름에는 살았거나 죽은 백혈구들이 존재한다.

혈액과 함께 운반되어 온 혈소판과 섬유소원은 응고기전과 조직 수복의 과정에 중요 역할을 한다.

 

 

특이적방어기전

인체가 어떤 병원체에 한번 노출됨으로써 그 이후 그 병원체대해서만 선별적으로 기능을 같는것을

후천성 방어기전이라고하며

 

 

독성물질 및 세균 등과 같은 몸에 해가 되는 물질인 항원(antigen)  들어오면 그 물질에 대한 항체(antibody)를 생성하여 대항하게 된다(항원-  항체 반응).

 

 

기억하고 있다가 재침입 했을 때는 신속히  항체를 생산하여 사멸시킨다

2.감염에 대한 인체 방어작용

 

세포매개면역 : T림프구 관여(가슴샘)

 

체액면역 : B림프구 관여(골수)

 

T림프구 : 이물질 제거,

면역기전에 관여

-도움 T림프구
-세포독성 T림프구
-억제 T림프구
-기억 T림프구

B림프구 : 면역글로불린 생성

 

 

#무과림구

단핵구,

큰포식세포(대식세포) : 탐식, 식균작용<큰포식세포>

•B림프구:골수유래,체액성면역,형질세포,면역글로블린(항체)생산

T림프구: 가슴샘유래, 세포성면

 
과립구

① 호: 백혈구의 50~70%, 강한 탐식기능(중간부터시켜서 먹는다)

② 호: 알레르기에 반응   (산성)

③ 호: 백혈구의 0.5% 이하, Histamine 등의 호르몬 분비(염증백혈구)

NK(Natural Killer)세포 : 처음부터 상해작용
모양 종류 특징


IgG
Ig의 80%차지()
2차 면역반응
모체로부터 태반을 통해 태아에게 전달
신생아에게 전달,수동면역에 적당,항박테리아,항바이러스작용



IgM
가장 큼()
항원에 대한 1차 면역반응(적혈구응집에 관여)


IgA


모유로 신생아전달, 눈물, 타액 등에 포함(점막에서분비, 분비항체)



IgE


알레르기를 일으킴,기생충감염시,페니실린쇼크



IgD


B림프구를 도와줌(항원수용체작용)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