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SMALL

해부생리학 21

소화계통구조(간,쓸개,이자)

1.간 •간 : 우측 상복부 위치 혈관이 잘 발달되어 있음(=혈액 덩어리) ①물질의 합성과 저장 : 포도당 저장, 콜레스테롤 생성, 알부민, 섬유소원, 프로트롬빈 생성 ⓐ당대사: 당으로부터 글리코켄을 만들어 간세포에 저장하고, 필요에따라 글리코켄을 분해하여 포도당으로 전환시겨 혈액으로 보낸다. ⓑ지질대사 지방산의 합성과 분해를 하며 지질외의 것으로 지질을 생성하고 인지질 과 콜레스테롤을 생성한다. ⓒ단백질 대사 간자체의 단백질 ,혈장단백질로 간에서 생성된다. 알부민, 섬유소원, 프로트롬빈 만약 간장애가 있으면 혈장단백질 중 알부민이감소한다. ⓓ요소 아미노산의 부산물로 암모니아는 오르니틴회로를 통하여 요소가된다. 비타민 A, D, B12 저장 쓸개즙(=담즙) 생성 및 분비 생성한후 온쓸개관을 통하여 샘창자..

해부생리학 2022.06.13

소화 작용

•구강 : 침(아밀라아제 함유)에 의한 탄수화물 소화 •위 : ① 꿈틀운동에 의해 음식물이 섞이고, ② 위액(펩시노겐 함유)에 의한 단백질 소화 •작은창자 : ① 분절운동에 의해 흡수가 잘 되도록 돕고, ② 융모에 의해 소화 & 흡수 ③ 이자액에 의해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소화 ④ 쓸개즙에 의해 지방 소화 모든 흡수의 90%를 차지 ⓐ단당류 흡수 ⓑ 아미노산(단백질) 흡수 ⓒ 전해질, 물 흡수 ⓓ 지질 흡수 ⓔ 지용성 비타민(A, D, E, K) 흡수 •큰창자 : 모든 흡수의 10%를 차지, 대부분 배설의 역할

해부생리학 2022.06.13

소화계통구조(위,작은창자,큰창자,곧창자,항문)

•위 : J자 모양을 한 주머니 형태 식도로부터 음식물을 받아 위액과 혼합 이후 샘창자(십이지장)로 음식물 이동 ① 들문(=분문) : 위와 식도가 접하는 곳 ② 위바닥(=위저) : 윗부분의 둥근 천장 모양 ③ 위몸통(=위체) : 위바닥 아래 넓은 부분 ④ 날문(=유문) : 위와 십이지장이 접하는 곳 본문부---- 위저부---- 위체부---- 유문부 들문---위바닥----위몸통---날문 •위벽 ① 점막 : 점액, 소화효소 분비 → 방어, 분비, 흡수 기능 ② 점막밑층(=점막하층) : 혈관, 림프관, 신경으로 이루어짐 ③ 근육층(=근층) : 빗근, 돌림근, 세로근의 3층 ④ 장막 : 장액 분비 → 촉촉하게 유지 •작은창자 = 샘창자 + 빈창자 + 돌창자 : 길이 6-7m : 융모가 있어 영양분을 효율적으로 ..

해부생리학 2022.06.13

소화계통(소화과정, 소화계통구조(구강,인두,식도,조임근)

※소화 과정 •소화 : 음식물을 기계적(=저작, 씹는 행위), 화학적(=침)으로 분해한 후 영양분은 흡수하고, 불필요한 물질은 배출하는 과정 •소화관 : 구강→인두→식도→위→작은창자→큰창자→항문 입,위 장점막 (화학적 소화 ,기계적소화) 분비 흡수 배출 1.소화계통구조 ①구강 •혀는 음식물을 침과 섞어주고 삼킬 때 음식물을 입안에서 인두로 보냄 미각·발성에 관여 유두 : 작은 돌기 ① 실유두 ② 버섯유두 ③ 성곽유두 : 많은 수의 맛봉오리가 들어 있음 ④ 잎새유두 : 사춘기 이후 퇴화되어 사라짐 •구강 : 저작(=씹는) 활동, 미각, 침샘을 가지고 있음 침샘의 종류는 ① 귀밑샘(=이하선) : 침샘 중 가장 크기가 큼 ② 턱밑샘(=악하선) : 장액>점액 ③ 혀밑샘(=설하선) : 장액

해부생리학 2022.06.13

감염에 대한 인체의 방어작용<백혈구>

1.면역의 종류 비특이적 면역 : 선천면역 피부,눈물과 점액, 염증반응 등 특이적면역 : 후천성면역 T 림프구(세포성면역) ,B림프구(체액성면역) 구분 세포성면역 체액성면역 관련림프구 T림프구 B림프구 성숙 가슴샘 골수에서 성숙 반응 지연 즉각적 예 이식거부반응,암세포파괴,결핵 과민성쇼크,아토피성질환,수혈 ※감염 염증(inflammation)은 미생물이나 외상으로 조직이 손상되었을 때 혈관을 가진 조직이면 어디에서나 발생한다. 염증은 감염물질의 인접조직으로의 확산을 막고 죽거나 손상된 세포를 제거하며 조직의 수복 단계를 거치면서 인체를 방어하는 과정이다. 손상된 세포에서 분비된 물질들이 혈액으로 유입되면 염증반응이 야기된다. 이런 분비물질들에는 히스타민과 세로토닌 등이 있으며 이들은 국소조직에서 중요한 ..

해부생리학 2022.06.13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