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부생리학

내분비계통(뇌하수체전엽,후엽)

간호학과1학년 2022. 6. 13. 21:06
728x90
SMALL

뇌하수체 전엽

 

 

성장호르몬(Growth Hormone, GH)

 

몸의 발육과 성장 촉진
단백질 합성을 촉진하며, 혈당의 농도를 증가
만약 어렸을 때부터 과잉분비가 되면 거인증 유발

 

뼈끝이 폐쇄된 성인에서 성장호르몬이 과다분비되면 말단비대증
성장호르몬분비촉진호르몬 ↔ 성장억제호르몬

  갑상샘자극호르몬(Thyroid Stimulating Hormone, TSH)

 

갑상샘에서 요오드(I)의 선택적인 흡수와 갑상샘호르몬의 합성 및 분비

혈중 갑상선 호르몬이 감소하면 갑상선 자극 호르몬이 증가하여  혈중 갑상선 호르몬인 티록신(T4)과 삼요오드티로닌(T3)이 체내에서  안정된 농도로 유지되도록 조절

  부신겉질자극호르몬(Adrenocorticotropic Hormone, ACTH)

 

당류코르티코이드(glucocorticoid) 호르몬 분비

 

 

2.뇌하수체후협

 

항이뇨호르몬(Antidiuretic Hormone, ADH)

-수분의 재흡수량 증가
-항이뇨호르몬의 분비 증가는 소변의 배설량 감소,
-항이뇨호르몬의 분비가 저하되면 소변량은 증대
 
 
 옥시토신(Oxytocin, OXT)
-분만 시의 자궁수축 작용과 수유 시의 젖 배출작용
 

1. 뇌하수체 (hypophysis) : 간뇌 시상하부 아래에 위치한 내분비기관. 내분비기관의 사령부예요. 전엽과 후엽으로 나뉘어요.

 

전엽 (생장 호르몬•갑상샘 자극 호르몬•부신 겉질 자극 호르몬•생식샘 자극 호르몬)

후엽 (항이뇨 호르몬콩팥 수분 재흡수 촉진)

 

2. 갑상샘 : 식도, 후두 앞에 붙은 내분비기관이에요. 체온 유지와 신체 대사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티록신 = 물질대사 (세포 호흡)을 촉진 ➔ 열 발생 (체온 유지)

if) 티록신이 부족하다? (feat. 음성 피드백)

간뇌 시상하부TRH(TSH 방출호르몬)을 분비합니다.

뇌하수체 전엽에서는 이를 듣고 TSH (갑상샘 자극 호르몬)을 분비합니다.

갑상샘은 서둘러 티록신을 합성, 분비합니다.

 

+) 티록신의 주요 성분_ 아이오딘 (요오드)

 

티록신이 병적으로 많으면, 방사성 아이오딘으로 갑상샘 세포를 파괴합니다.

티록신이 너무 적으면, 아이오딘제를 주사하죠.

 

3. 부신 : 콩팥(신장) 위에 하나씩 부착된 녀석이에요. (한 쌍이겠죠?) 혈당량을 증가시키는 친구들을 만날 겁니다.

① 겉질 (=피질)

당질 코르티코이드 : 뇌하수체 전엽에서 <부신 겉질 자극H>가 신호를 보내면 분비됩니다. 혈당량을 증가시켜요.

무기질 코르티코이드: 콩팥에서 나트륨 이온 재흡수 촉진. 여담으로, 이 친구가 '알도스테론(aldosterone)'이에요. 체내 삼투압을 상승시켜, 결과적으로 혈압을 올린답니다. 과다 분비 시, 콩팥의 수분 재흡수가 너무 많이 되어서, 몸이 붓고 혈압이 너무 높아져요.

 

② 속질 (=수질)

에피네프린 : 교감 신경을 자극하면, 부신 속질에서 분비돼요. 그 효과도 교감 신경과 유사해요.

(심장 박동 증가, 세포 호흡 촉진, 열 발생, 혈당량 증가)

 

4. 이자 (췌장,pancreas) : 소화기계이자 내분비계. 소화 효소와 호르몬을 저장. (호르몬을 저장하는 '랑게르한스 섬'을 지닌다.)

(이자) 인슐린/글루카곤에 의한 혈당량 조절

① 이자 𝛃세포_ 인슐린 <혈당량 감소> (베인)

""에 가서 포도당으로 글리코젠 합성, 혈액 속 포도당 양을 떨어트려요.

+

간뇌 시상하부 <부교감 신경> 이 이자를 자극해 인슐린을 분비하기도 해요.

② 이자 𝛂세포_ 글루카곤 <혈당량 증가> (알파고)

""에 가서 글리코젠을 포도당으로 분해, 혈당량을 높입니다.

+

간뇌 시상하부 <교감 신경>이 이자를 자극해 글루카곤을 분비해요.

(∵ 부교감 신경 ➔ 혈당량 감소 / 교감 신경 ➔ 혈당량 증가)

 

※생식샘

  에스트로겐

-난자의 성숙을 촉진, 자궁의 크기를 증대
-월경 후 탈락된 자궁내막 상피세포의 재생을 촉진
-젖샘관의 발달로 유방의 발달을 촉진
-출산 후 급격한 에스트로겐 분비 감소로 프로락틴 분비가 증가되면서 젖의

분비가 촉진

 

 

프로게스테론

-일명 임신호르몬
-수정된 난자가 자궁에 착상하여 발육될 수 있도록 임신상태를 유지

테스토스테론

-고환에서 분비
-정자 생산을 조절
-사춘기 때 목소리가 두꺼워지고 수염이 나게 하는 등 제2차 성징을 나타냄
728x90
LIST

'해부생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학 상식 (1)등장액, 저장액, 고장액  (0) 2022.07.16
내분비계통(호르몬의 기능,분비조절)  (0) 2022.06.13
신경계통(자율신경계통)  (0) 2022.06.13
뇌신경12쌍  (0) 2022.06.13
신경계통(중추신경계)  (0) 2022.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