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부생리학

호흡계통(허파,허파꽈리,호흡생리,호흡교관,비정상적 호흡)

간호학과1학년 2022. 6. 13. 16:47
728x90
SMALL
1.허파(폐) : 우측 1개(3엽), 좌측 1개(2엽)로 구성

O2호흡상피와 모세관의 내피세포를 통과하여 혈액 안으로 진입

CO2허파꽈리(폐포)로 배출

기관지동맥, 기관지정맥 : 허파의 영양혈관

 

2.허파꽈리

O2CO2교환이 일어나는 장소(확산)

 

★허파문 통과순서

허파정맥---허파동맥-- 기관지--신경--림프관

 

 ★★★★★허파꽈리 ★★★★★

허파의 기능적 단위, 가스교환이 일어남

 

 

 

 

 

1형 폐포세포

호흡상피(대부분을 차지하고 가스확산에 관여 )

 

 

2형폐폐포세포는

표(계)면활성제분비

폐표면활성제는 폐포 면을 부드럽게 하는 역할을 하는 물질입니다. 신생아의 경우 너무 일찍 태어나면 호흡곤란증후군이 나타나는데 이는 폐표면활성제가 부족하여 나타납니다. 임신 35주 정도의 태아가 되어야 필요한 폐표면활성제가 분비 됩니다.

먼지세포는 포식작용

 

 

3.호흡생리

1)호흡조절 중추:

숨뇌(등쪽과배쪽호흡군)와 다리뇌(호흡조정중추,지속흡입중추) <수의적>

허파의 확장(뻗침)수용기는 기관지 주변의 민무늬근육에 존재,  허파와 기관지가 과도하게 팽창되었을

들숨을 억제하고, 날숨을 유도하는 반사작용 근육과 관절에 있는 수용기는 호흡률의 증가를 요구함

 

★산소가 많은 순서

①허파늘어남(들숨)

②날숨공기

③허파

④허파모세혈관동맥

⑤허파모세혈관 정맥

⑥조직

구분 들숨 날숨
운동형태 능동 수동
바깥갈비근 수축 이완
가로막 수축 이완
갈비뼈 상승 하강
  낮아짐 높아짐

4.호흡곡선

 

·일회호흡량(500mL) : 자연스러운 들숨+날숨
·들숨예비량(3,100mL) : 숨을 들이마신 뒤 최대로 더 들이마실 수 있는 공기의
·날숨예비량(1,200mL) : 숨을 내신 뒤 힘을 주어 최대로 더 내쉴 수 있는 공기의
·잔기량(1,200mL) : 최대로 숨을 내쉰 뒤에 폐 속에 남는 공기의
·들숨용량(3,600mL) :  일회호흡량 +  들숨예비량
·기능잔기용량(2,400mL) : 날숨예비량 +    잔기량
·폐활량(4,800mL) : 일회호흡량 + 들숨예비량 + 날숨예비량
·총폐용량(6,000mL) : 폐활량 + 잔기량

 

◆ 무효공간(코안에서 종말세기관지 사이 가스교환이 일어나지 않는 공기 통로  150ml

 

 

 

횡경막(70%,외늑각근30%)

외늑간근이 수축할떄 갈비뼈가 올라가면서

 

흉곽이 확장되고 숨을 들이마시게 되고,

 

내늑간근이 수축할떄 갈비뼈가 다시 내려가면서

흉곽이 좁아지고 숩을 내쉬게 된다

5.호흡교환

·바깥호흡

허파 내로 외부의 공기를 받아들여  허파꽈리와 허파 모세혈관에서  O2 CO2 교환

 

·속호흡

모세혈관의 혈액과 조직 사이에서  O2 CO2 교환

 

 

6.비정상적호흡

1)빠른호흡:호흡빈도가 증가하는 경우

2)호흡곤란:호흡이 어려운 상태

3)과다호흡:호흡의 깊이가 증가하는 경우

4)체인스토고스호흡 : 호흡곤란과 무호흡연속

5)비오호흡:무호흡에서 갑자기 과다호흡이 시작되며, 과다호흡에서 무호흡으로 바뀌는 호흡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