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계통구조(간,쓸개,이자)
1.간
•간 : 우측 상복부 위치
혈관이 잘 발달되어 있음(=혈액 덩어리)

①물질의 합성과 저장
: 포도당 저장, 콜레스테롤 생성, 알부민, 섬유소원, 프로트롬빈 생성
ⓐ당대사:
당으로부터 글리코켄을 만들어 간세포에 저장하고, 필요에따라 글리코켄을 분해하여
포도당으로 전환시겨 혈액으로 보낸다.
ⓑ지질대사
지방산의 합성과 분해를 하며
지질외의 것으로 지질을 생성하고 인지질 과 콜레스테롤을 생성한다.
ⓒ단백질 대사
간자체의 단백질 ,혈장단백질로 간에서 생성된다.
알부민, 섬유소원, 프로트롬빈
만약 간장애가 있으면 혈장단백질 중 알부민이감소한다.
ⓓ요소
아미노산의 부산물로 암모니아는 오르니틴회로를 통하여 요소가된다.
비타민 A, D, B12 저장
쓸개즙(=담즙) 생성 및 분비
생성한후 온쓸개관을 통하여 샘창자로 배출한다.
지방 ----소화흡수, 지용성비타민(A, D, E, K) 흡수 도와주는 역할
ⓔ 해독작용
음식물을 통하여 창자속에 온 독성물질을 간으로 이송하여 무독화 한후 배설
간의 모세혈관망에는 포식작용이 왕성한 별세포(쿠퍼세포) 특수한 내피세포가 있어서 간으로 보내진 유독물질을
포식한다.
ⓕ 혈액량 조절
간에 혈액을 저장해두었다가 필요할때 방출하여 보충해 주기도 하며, 즉 임신 4~5개월 내에서는
조혈기능이 있어 적혈구를 생산하고 힝빈혈자인 Fe2+을 저장한다.
2.쓸개
: 500~1000ml/일 분비
: 주 성분은 빌리루빈으로 혈색소(Hemoglobin)이 분해되어 만들어진 것
콜레시크코키닌에 의해 쓸개즙 준비
※콜레시스토키닌은 이자 소화효소의 분비조절에 중요한 역할
-십이지장 점막에서 콜레시스토키닌의 분비의 주요 자극요인은 지방의 존재 유무, 단백질의 산물도 어느 정도 영향을 줌
-순환계는 이자로 콜레시스토키닌을 운반 운반된 콜레시스토키닌은 선방세포를 자극함==> 이자소화효소분비를 증가시킴==> 이들 소화효소에 리파아제와 단백질 분해효소가 있음 이들은 지방및 단백질이 더 잘 소화되도록 돕고 탄수화물의 소화에도 어느 정도 관여함
★빌리루빈
[ bilirubin ]
담즙 색소의 하나인 빌리루빈(bilirubin)의 혈장내 농도가 올라가면 피부와 눈의 흰자위가 누런색을 띠는 황달(jaundice) 증상이 나타난다. 고농도의 빌리루빈을 줄이기 위한 전통적인 치료법은 환자의 신체 부위를 형광등에 노출시키는 것인데, 이는 빌리루빈을 광화학적 전환을 통해 물에 잘 녹고 쉽게 분비될 수 있는 형태로 바꾸어 주는 방법이다
3.이자(췌장)
외분비샘
외분비샘 | 내분비샘 |
①트립신:단백질분해 | 글루카곤:탄수화물대사 a세포 |
②아밀라아제:탄수화물분해 | 인슐린분비:혈당조절 b세포 |
③리파아제:지방분해 | 소마토스타틴 |

구조:샘 옆창자 옆 C자형 이자머리 -이자 몸통 -- 이자꼬리
외분비샘
아밀라아제 - 탄수화물- 포도당 - 작은창자 융모정맥에서 흡수, 간문맥으로 이동
트립신 , 키모트립신 : 단백질, 아미노산, 작은 창자 융모, 림프관으로 흡수(지방산,지용성비타민,클리세롤)
내분비샘
A세포:글루카곤 혈당상승 B세포:인슐린 혈당낮춤 델다세포:
소마토스타틴
소화계에서 위, 창자, 이자의 델타세포에서 분비된다. 이자 외에서 분비되는 소마토스타틴은 창자에서의 소화능력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 이자에서 분비될 경우 이는 장이 여러 가지 영양분을 흡수하는 시간을 늦춘다.
위산을 중화시킴(중탄산나트륨 )